"언론 자유는 거저 주어지는 것이 아닙니다. 싸워서 쟁취해야 하는 것입니다."
'이명박(MB) 정권 낙하산 인사의 희생양'으로 거론되고 있는 정연주 전 KBS 사장이 정수재단의 사회 환원과 부산일보의 편집권 독립운동에 동참하고 나섰다.
정 사장은 4일 오전 11시 부산일보사 사옥 앞에서 '박근혜 의원은 불법 강탈한 정수재단 사회 환원하고, 부산일보 편집권 독립 보장하라'는 내용의 피켓을 들고 1인 시위를 진행했다.
정연주 전 KBS 사장 '정수장학회 사회환원' 동참 1인 시위
"파업 언론사 징계 남발, 경영진 스스로 독재집단 자인한 셈"
공영방송사 전 사장 신분으로 이례적으로 부산일보 문제에 발 벗고 나선 것과 관련, 그는 "부산일보는 국내에서 처음으로 편집국장 후보 추천제를 도입하는 등 독립 언론의 선구자적 역할을 해왔다"며 "이런 자랑스러운 언론사가 지금처럼 계속 정수장학회에 예속되어서는 빛나는 전통을 유지하기 어렵다고 판단해 평생 언론인으로서 거룩한 싸움에 동참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정 사장은 "박정희 군부독재 정권이 부일장학회를 강탈해 정수장학회를 설립하는 과정의 불법성은 이미 참여정부 시절 과거사위를 통해 그 진실이 밝혀졌다"며 "사적 소유인 현재의 '장물 장학회'를 사회에 환원하라는 것은 지극히 상식적이고, 합리적인 사회적 요구"라고 주장했다.
그는 정수장학회 문제와 관련한 새누리당 박근혜 선거대책위원장의 태도에 대해 "명백히 강탈한 장물임에도 재단 이사장 자리에서 물러났다고 나와 상관없다는 식의 형식 논리를 내세워 모르쇠로 일관하는 것은 국민들을 바보로 여기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또 유례없는 총파업에 나선 각 언론사 노조 조합원들에 대한 사측의 징계 남발과 관련, "자기비판 목소리를 용납하지 못하고 징계의 칼을 휘두르는 것은 언론사 경영진이나 권력집단이 독재집단이라는 것을 스스로 자인하는 셈"이라고 쓴소리를 했다.
그는 "현 정권의 민간인사찰 파문과 현재의 강압적인 언론 환경을 보면 유신 시절의 유령과 독재 잔재가 여전히 대한민국에서 암약하고 있는 것으로 느껴진다"며 "언론 자유는 싸워서 쟁취하는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참여정부 시절인 2003년 4월 KBS 사장에 임명된 정 사장은 이명박 정권이 들어선 2008년 8월 잔여 임기 15개월을 남기고 부실 경영에 따른 책임을 물어 해임됐으나, 대법원은 지난 1월 해임처분 무효 소송에서 "해임처분을 취소하라"고 판결한 원심을 확정했다.
'노사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적 타살' 쌍용차 죽음 정부와 회사가 책임져야" (0) | 2012.04.13 |
---|---|
민주노총 "노동자의 투표시간 보장 해야" (0) | 2012.04.09 |
언론노조 "MB가 국격을 지키는 길은 사과하고 물러나는 것" (0) | 2012.04.07 |
[현장] 쌍용차 22번째 죽음 쓸쓸한 뒷 이야기 (0) | 2012.04.06 |
경찰, 쌍용차 초상집에 깽판치고 2명 연행 (0) | 2012.04.05 |
쌍용차 22번째 사망 정리해고자 이윤형씨 (0) | 2012.04.05 |
정수장학회 사회환수, mb언론낙하산 퇴출을 위한 콘서트 '장물환수대작전' (0) | 2012.04.04 |
언론노조 “헌정질서 유린한 이명박, 하야하라” (0) | 2012.04.03 |
"MB정부는 도둑적(?)으로 완벽한 정권" (0) | 2012.04.02 |
MBC 아나운서와 기자들 "프리랜서 앵커와 계약직 기자 채용은 불법행위" (0) | 2012.04.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