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동영 민주통합당 상임고문의 대선 불출마 선언 기자회견에 참여한 지지자들은 정 고문의 결정에 아쉬움을 전했다.

9일 서울 중구 덕수궁 대한문 앞에서 열린 기자회견에는 용산참사 유가족들과 유종일 한국개발연구원 교수, 한홍구 성공회대 교수, 우석훈 성공회대 외래교수, 선대인 세금혁명당 대표 등 정 고문의 멘토단이 참여했다.

이들은 정 고문의 소개를 받아 단상 앞에 나서 정 고문의 결정에 대한 아쉬움과 당 대선 경선에 출마한 후보들에 대한 당부의 메시지를 전달했다.

용산참사 유가족 전재숙씨는 "이 자리가 대선 출마하는 자리라면 얼마나 좋겠냐"며 "눈물이 나올 것 같다"고 아쉬움을 드러냈다. 이어 "정 고문은 가난한 서민을 위해 사는 사람이라서 정권이 바뀌는 데 공신이 되실 것"이라며 "다음 정권에는 꼭 대선에 나오셔서 승리할 때까지 함께 열심히 기다려 나가겠다"고 말했다.

유종일 교수는 야권 대선 후보들을 향해 "지난 총선에서 왜 처참한 패배를 맛봤는지에 대한 진솔한 반성과 깊은 사과가 필요하다"며 "진지한 반성과 사과로 진정성을 획득할 것을 주문한다"고 밝혔다.

한홍구 교수는 "지난 3~4년 동안 정 고문의 행보는 2007년의 행보와 달랐다"며 "대선 패배의 아픔을 겪고 높은 자리에서는 보이지 않았던 곳을 찾았다. 용산, 쌍용, 강정 등 대중이 고통 받는 곳에 달려갔다"고 말했다.

이어 "정 고문은 용산 어머니의 눈물을 보고 다짐하고, 한진과 쌍용에서 열심히 싸웠다"며 "그가 대선 출마의 길은 접었지만 민주당은 이 가치를 이어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해영 한신대 교수는 "정 고문께서 대권출마의 꿈을 접는다는 소식을 듣고 안타까웠지만 새로운 길과 국민권력을 말씀하셨다"며 "새로운 길이 대외경제정책과 통상정책이 제대로 올바른 길로 들어서게 되는 길이라고 믿고 싶다"고 말했다.

또 "앞으로 정동영 의원과 함께 새로운 길로 가기 위해서 싸우고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최태욱 한림대 교수는 "야권연대를 하면서 진보당과 민주당이 공동으로 내건 공약 세 가지 중 비례대표제를 강화하자는 논의는 굉장히 미흡한 실정"이라며 "이 일을 하셔야 할 정 고문이 지금은 국회의원도, 대통령도 하지 않겠다고 불출마 선언을 했다"고 안타까운 심정을 밝혔다.

이어 "정치개혁을 주도할 대통령을 만들어내는 데 앞장서 달라"고 덧붙였다.

우석훈 교수는 "지난 3년 간 정 고문은 거리의 대통령이었고 우리시대의 정치인이었다"며 "그가 만든 가치와 노선, 미래에 대한 이상은 이 자리에서 출발할 것이라고 믿는다"고 밝혔다.

선대인 대표도 "2년 전까지도 정동영은 비호감이었는데 그가 길거리에 나서기 시작하고 서민의 목소리를 듣기 시작하면서 조금씩 눈에 들어왔다"며 "자신이 잘되기보다는 민생경제 회복의 불씨가 되겠다는 결심을 높이 평가한다"고 말했다.

이 자리에는 정 고문을 SNS상에서 지지하던 지지자도 참석해 눈길을 끌었다. 트위터에서 '주먹이 운다'라는 아이디를 사용한다고 밝힌 서철원씨는 직접 써온 편지를 통해 "한진 2차 희망버스 때 정 고문이 최루액 섞인 물대포를 맞는 장면을 보면서 웃은 적도 있다"며 "이후 쌍용차, 대학생 반값등록금 집회 등 살을 에는 추위 속에서도 단 한번도 빠지지 않는 모습을 보면서 마음이 흔들렸고 많은 사람들이 진정성을 느꼈다"고 말했다.

이어 "정 고문이 보여준 진정성과 가치가 옳다고 믿는다"며 "정 고문이 추구하는 진보의 길이 앞으로 대한민국이 가야할 길이라고 생각한다. 지치고 힘들 때 정동영을 외쳐 부르겠다"고 지지의 뜻을 전했다.

서해성 작가는 정 고문의 지난 정치 행보에 대해 "다른 분들과 마찬가지로 저 또한 정동영이란 정치인이 어떤 길을 가는가 그 과정에서 동지가 됐다"며 "땅에 있는 스카이(쌍용차, 강정, 용산)가 하늘의 스카이가 될 수 있도록 하려면 정동영이 걸어왔던 것처럼 해야만 가능하다"고 평가했다.

Posted by '하늘사랑'
,